창조경제? 국가 정책적으로 표준화/공용화 강력하게 추진해야...
11,042
2013-07-26
언론보도에 의하면 프랑스 르노와 일본 닛산은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신 모델을 더욱 용이하게 개발하기 위해 2020년까지 새로운 플랫폼인 공용 모듈 제품군의 부품을 50% 정도 공용화한다고 한다. 이처럼 부품표준화 및 공용화는 유사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 간 상호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이루어지는데 대부분 전자, 자동차 사업 등을 영위하는 일부 대기업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중소․중견기업 간에도 부품표준화 및 공용화를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지원하면 어떨까? 예를 들어 국내에서 생산되는 약병, 술병, 조미료통, 등등 각종 용기류를 표준화․공용화한다면 재활용 및 생산비 절감에 많은 효과가 있지 않겠는가? 유사 사업을 영위하는 지방공기업 간 업무에 대해 국가 정책적으로 표준화․공용화를 추진할 수는 없을까? 예를 들어 일부 자치단체에서 도시개발공사를 신설하여 추진하려하는 지역사업의 경우, 새로 신설하지 말고 기존의 SH공사를 활용하여 사업을 추진한다면 SH공사가 오랫동안 쌓아온 각종 개발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지 않겠는가? 새 정부 들어 화두가 되고 있는 창조경제는 유사사업을 추진하는 각 조직이 상호 간의 벽을 허물고 활발히 교류하는데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유사 사업체 간의 표준화․공용화 사업은 모든 부문에서 국가 정책적으로 강력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